소스 엔진 기반 게임이나 모드를 개발하려면 소스 SDK가 필요하다. 소스 SDK는 소스 엔진을 사용자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커스텀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게임 모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기본적인 도구이다. 필자는 본 포스팅에서 소스 SDK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할 예정이다. 먼저 Steam 클라이언트를 통해 소스 SDK를 다운로드하고, 필요한 도구들을 설치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또한 기본적인 환경 설정과 주요 도구들의 기능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소스 SDK를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작하기
먼저 Steam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여 접속한 후, 상단 메뉴 중 라이브러리를 클릭하여 이동한다.
라이브러리로 이동 후, 좌측 홈 또는 게임이라고 표시된 콤보 박스를 클릭하면, 게임, 도구라는 체크 박스가 나타난다. 여기서 기본으로 게임 체크 박스에만 체크가 되어있는데, 도구 체크 박스에도 체크해야 소스 SDK 설치 항목이 나타난다.
체크 박스에서 도구 항목에 체크 후 좌측 게임, 도구 리스트를 계속 스크롤 하다 보면 Source SDK Base 2013 항목이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Source SDK Base 버전이 2006, 2007, 2013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필자는 가장 최신 버전인 2013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Source SDK Base 2013 버전은 Multiplayer, Singleplayer, Dedicated Server 버전으로 또 나뉘는데 이건 게임 장르나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싱글 플레이용 모드를 위주로 설명할 예정이라 Source SDK Base 2013 Singleplayer 버전으로 설치를 진행하려고 한다.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였으면 화면 가운데쯤에 있는 파란색 설치 버튼을 눌러서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한다.
파란색 설치 버튼을 누르면 설치 경로 선택 화면이 나타나는데 따로 변경하지 않으면 기본 steamapps 경로로 저장될 것이다. 설치 경로를 바꾸고 싶다면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변경할 수 있다. 경로 확인이 완료되었다면 하단 파란색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한다.
[기본 설치 경로는 Steam 설치 경로/steamapps/common 경로이다]
[해당 경로를 탐색기를 통해 바로 갈 수 있는 방법은 포스팅 마지막에서 설명할 것이다]
클릭 이후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시간이 꽤 걸리니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을 추천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파란색 설치 버튼이 초록색 실행 버튼으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여기까지 진행되었다면 일단 기초적인 소스 SDK 설치는 완료 된 것이다.
설치 완료 이후 소스 SDK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치 폴더로 이동해야 한다. 직접 탐색기를 통해 경로를 찾아갈 수도 있지만, Steam에서 바로 가기 기능으로 바로 해당 설치 경로로 탐색기를 띄울 수도 있다. 필자는 Steam 바로 가기 기능을 이용하여 설치 확인을 진행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한다. 먼저 Steam 라이브러리의 좌측 게임, 도구 목록에서 자신이 설치한 Source SDK 버전을 선택하고 오른쪽 클릭을 하게 되면 메뉴가 하나 뜬다. 이 메뉴에서 관리 > 로컬 파일 탐색 메뉴를 누르면 바로 가기가 진행된다.
이후 탐색기에 다음과 같이 폴더 및 파일 구조가 만들어져 있으면 성공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PS.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소스엔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스SDK] 3. 맵 제작 도구 해머 에디터 실행 및 화면 구성 (0) | 2025.02.09 |
---|---|
[소스SDK] 1. 소스 SDK 개요 (1) | 2025.01.30 |